CNU People_교수 함께 했기에 모두 특별한 CNU 석학교수, 의학과 송민호 교수

올해 충남대는 ‘CNU 석학교수(CNU Distinguished Professor) 제도’를 신설하고, 첫 CNU 석학교 수로 의과대학 송민호 교수와 공과대학 윤순길 교수를 선정했다. 국·내외적으로 탁월한 수준의 연구 또는 교육 업적을 인정받아 석학교수로 선정된 두 교수는 3년간 ‘석학교수’의 호칭을 부여받아 연구 활동 지원금 1억 원과 강의 책임시수 감면의 혜택을 받는다.

충남대의 첫 석학교수 중 한 명인 송민호 교수는 지난 1992년 의과대학 교수로 임용된 이후 내분비 및 대사 의학, 암 및 대사질환, 세포에너지 대사 연구 분야의 전문가로 활약해왔다. 의학 분야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국내 의학연구를 견인하고 있으며, 미해결 질병 영역에 대하여 독창적 해석을 통해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학 생, 동료, 공동연구자 등 함께한 연구자들이 있기에 그동안의 모든 연구가 특별하고 소중하다는 송민호 교수, CNU 석학교수로 선정될 수 있었던 비결과 앞으로의 혜안을 물었다.

Q. 지난 2월 CNU 석학교수에 선정되셨습니다.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먼저 CNU 석학교수 제도를 만들어주신 충남대학교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선정과정에 참여하여주신 위원님들의 세심한 평가에도 감사드립니다. 처음으로 시행되는 제도에서 선정된 만큼 기쁘게 생각하고 그동안 연구과정에서 같이한 학생, 동료 그리고 공동연구자분들과 함께 기쁨을 나누고 싶습니다.

Q. 지금까지 쌓아온 연구 성과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성과는 무엇인가요?

연구 결과를 담긴 논문의 배경에는 논문에 쓰여있지 않은 연구 수행과정의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연구를 시작하게 된 호기심이 나온 과정, 학생들과의 의기투합, 공동연구자와 협력의 열정, 함께 극복한 어려웠던 것과 같은 많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기에 모든 연구 논문이 특별합니다. 특히 석사과정에서 같이 선정한 주제를 가지고 박사학위까지 취득까지 수행 되었던 논문들에는 저와 학생 간의 소중한 시간과 이야기를 비밀스럽게 간직하고 있습니다.

Q. 앞으로 연구자들이 갖춰야 할 덕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과학자들의 질병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질병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인간의 질병에 대한 유일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은 질병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과 연구의 결과를 헌신적으로 현장의 환자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많은 질병이 해결되고 있지만, 더 많은 질병이 해결되어야 할 상황입니다.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질병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찿는 자세, 즉 질문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열정과 팀워크를 의학자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의학은 태생적으로 융합과학입니다. 다른 연구자들의 생각을 듣고 이해하여 자신이 연구하는 질병에 대해 적극적 적용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Q. 다수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이끌 수 있었던 연구경쟁력의 원천은 무엇인가요?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생각을 말하고, 듣고, 협력하는 과정이 일상적으로 반복되어야 합니다. 특히 생각의 교환을 세계적인 석학들과 기꺼이 나누기를 좋아해야 합니다. 연구개발사업은 국가의 재원이 투입되고 학생들이 미래가 달려 있기에 헌신이 요구되지만 열정있는 동료들과 즐거움으로 극복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Q. 충남대가 연구중심대학으로 나아갈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우리 사회의 발전은 대학의 연구에 달려있습니다. 학부의 교육 역시 연구를 통해서 강화되어야 하고 대학원에는 행·재정의 지원을 늘려야 합니다. 단계적으로 지역의 발전과 국가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지역 내 연구중심대학 및 연구소와 자원을 공유하며 연구를 선도하고 협력도 하는 유연한 체제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기존의 과학기술중심대학이 지역에 흩어져 지방의 성장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들과 선도와 협력의 역동적 체제를 구성해야 우리 대학의 대학원생을 비롯한 연구인력이 성장하고 산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Q. 현재 연구하고 계시거나 앞으로 목표하신 연구 성과가 있으신가요?

해결되지 않은 질환, 특히 암 및 뇌신경 질환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방향 설정과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서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한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기술사업화를 통해 약이 없는 질환에 희망의 치료법을 제시하기를 원합니다.

Q. 교수님처럼 의학자를 꿈꾸는 청년들에게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알려진 지식으로 주어진 문제를 잘 해결하는 성실한 의사는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질병에 대하여 새로운 질문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의학자는 더욱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답하는 의사보다는 질문하는 의학자가 우리 대학에서 더 많이 양성되기를 기대합니다.

주요경력
1992.04.01 현 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13.01.01-2015.11.30 충남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원장
2016.11.10-2019.11.30 제22대 충남대학교병원장(법인8대)
국가과학기술심의자문위원
한국의학한림원 정회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
수상사항
1986.02.25 국회의장상(국회)
1999.11.06 내분비 학술상
2003.12.30 함춘의학상(서울대학교병원 내과)
2003.08.22 대한내분비학회 연구본상(대한내분비학회)
2004.03.07 Onaya-Kohn Prize(일본갑상선학회)
2005.10.31 Asia Oceania Thyroid Association Prize(세계갑상선학회)
2009.02.14 Genzyme 학술상(대한갑상선학회)
2012.09.01 부경학술상(대한갑상선학회)
2014.06.27 에밀 폰 베링 의학대상(대한의사협회)
2014.12.30 표창장(미래창조과학부)
2018.12.03 근정포장(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2019.05.10 설원학술상(대한당뇨병학회)
2020.10.30 남곡학술상(대한내분비학회)
연구분야
- 내분비 및 대사 의학
- 암 및 대사 질환
- 세포에너지 대사
연구성과
- 의학 분야에서 연구활동(SCI 196편 h-index; 51, i10-index; 147)을 수행하며, 글로벌 연구네트웍을 형성하여 한국의 의학연구 영향력을 견인하고 있음 (참고, Google scholar 2022)
- 국가지정연구실사업(2001~2006, 과학기술부)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후속(2015~2018, 미래창조과 학부)을 수행하여 최종 S등급 평가, 미래기반기술개발 사업(2007~2012, 과학기술부), 도전-도약 연구사업 (2012~2015, 미래창조과학부), 의학첨단과학 연구단 (2012~2017, 미래창조과학부) 및 병원특성화연구센터 (2010~2015, 보건복지부) 등 다수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제고하였음.
- 2022년 현재 과학기술국제화사업(2017~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략과제(2017~ 2022, 과학기술정 보통신부)를 연구책임자로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중심병원(2020~ 2028, 보건복지부) 연구사업의 세부책임자로 수행 중임.
- 미해결 질병 영역에 대하여 독창적 해석을 통해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특히 미토콘드리아리보좀의 구성요소의 발견은 질병동물모델의 개발성과를 이루어내어 인체복잡질환에 대하여 새로운 연구모델을 제시함.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해당분야의 기반기술에 대한 특허 및 산업체 기술이전 등으로 산학협력에 기여함.